![](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Zlt6/btq5BmDviI0/6CFlMlo1Ck5MkNZ0OSag80/img.jpg)
2021년은 코로나19때문에 운행거리가 많이 줄어서 그런지, 사진등록하라는 안내가 없네요. 찾기도 어렵고, 한참헤매다가 찾은 링크입니다. 계기판, 정면 사진(2일 이내), 계좌번호 필요 https://direct.kbinsure.co.kr/mobiapp/bmmain.html#/car/bm/0000M?conttype=1&bmtype=1&referCfcd=01&jobCfcd1=SC&jobCfcd3=1 KB손해보험다이렉트 KB손해보험 다이렉트 공식사이트, 다이렉트 보험료에 다양한 특약으로 한번 더 할인, 자동차/운전자/여행 보험 등 KB손해보험 자사 오프라인 대비 할인 direct.kbinsure.co.kr 9만원돈 환급될것 같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nBxmm/btq5xvHUela/K31yazUFapTDf2k10kRW0K/img.jpg)
태양광 압축 쓰레기통이 처음 나왔을때, 좋다고 난리였습니다 유튜브에서도 좋다, 대단하다 등의 수식어를 붙여서 떠들어댔죠. 그러나, 몇년 안되어, 거의 방치되어, 서있는 쓰레기 상태입니다. 저거 구입해서 설치하는데 든 세금만해도 엄청날겁니다. 문제는 검증도 없이 덜컥 사버리는 거죠. 단계별로 설치, 운영해보고, 문제점을 개선해서, 점차 설치를 늘려야죠. (이미 그렇게 하고 있나요???) 어쨌든, 제가 볼때는 이미 예견된 문제점들이 거의 개선이 안되었습니다. 문제점1) 압축이 잘 안되는 쓰레기는 분리수거가 답. 문제점2) 태양광 패널 먼지는 자주 청소해줘야함. 문제점3) 배터리는 최소 2년마다 교체해줘야함. 배터리는 매우 고가의 부품임. 차라리, 압축 쓰레기통 보다는 쓰레기가 가득찼다는 신호를 보내주는 쓰레..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Ae9CT/btq5uupUQLp/ykJHKKWZ9ZPSzfe7O3KgR0/img.jpg)
방열판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면적입니다. 공기와 얼마나 잘 접촉하는지, 면적으로 계산합니다. 방열판 면적을 쉽게 계산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위 사진과 같은 방열판 좀 복잡하죠? 우선 옆면의 면적을 계산하면, 공기가 지나갈 수 있는 면적이 약 50%정도입니다. 핀이 앞에서 뒤로 10열이 있습니다. 핀 하나당, 앞면, 뒷면해서 곱하기2 50% × 10열 ×2 = 약10배 앞면이 약10배, 좌우 면도 약 10배, 윗면은 그대로, 즉, 바닥면에 비해 옆면이 약 20배 늘어난 면적입니다. (옆면만 계산하면됨) 옆면은 바닥면의 약40%라고 할때, 0.4×20 = 8배 방열판 부착면적보다 8배 더 큰 면적의 방열효과가 있습니다만, 공기가 효율적으로 접촉하기 위해서는 냉각팬이 필요합니다. 이때는 공기 흐르는 양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YSa7H/btq6CBTMy5d/lUhwtWRT0jXXvL2wZKw7ZK/img.jpg)
르노삼성 뉴SM3 자동차 평균연비 17.2Km의 비밀 경유 아님. 가솔린 맞음. SM3가 연비가 좋다고 하더군요. (그래봐야 티코24km는 못따라옴) 최근 평균연비 17Km를 넘었습니다. 평소에도 16km정도는 나옵니다. (고속도로위주 운행) 1) 불필요한 짐 내리기 아동용 자전거 내리니 연비가 좋아지더군요. 2) 급가속 자제 속도를 천천히 올립니다. 3) 고속도로 위주 운행 도심주행은 연비가 매우 낮습니다. 신호등이 적은 길로 다니세요. 4) 엔진오일 ??? 이번 주제가 엔진오일입니다. 엔진오일과 연비가 무슨 상관이냐구요? 상관있습니다. 평소 16km연비가 갑자기 17Km가 되었습니다. 엔진오일은 점도, 온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4계절이 있어, 비교적 점도가 낮은(겨울철에도 사용이 무난한..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pblR0/btq5uTo72zO/yXAdtdFF4YSIYA65iZxHKk/img.jpg)
1차는 너무 촘촘하게 접어, 냉각효과가 떨어지는듯하여, 이번에는 공기 흐름이 원활하도록, 접는 간격을 넓직하게 하려고 하는데, 쉽게 안되고, 너무 커지고 있음. 이 방식은 거의 공짜로 방열판을 만들어 붙일 수 있다는것과, 생각보다 효과가 좋다는것이다. 아래는 1차 사진 구형 노트북이 시끄러워, 방열판 여러개 붙였는데, 글루건이 툭치면 떨어지고, 너무 지저분해서, 알루미늄 캔 방열판 1차를 붙였더니, 생각보단 성능이 괜찮다. 붙이기도 훨씬 수월하다. 좀 지저분해 보이는건 똑같네.... 메모리도 발열이 심한데, 알루미늄캔 방열판을 쉽게 붙일 수 있다. 다이소에서 판매하는 스틱형 목공용본드로 붙였다. 건조되면 투명하게됨.(오공본드) 생각보다는 성능 좋다. HDD 가이드에 대고 접으면, 쉽게 접을 수 있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UiIu/btq5x9c7Jab/beUmsKmQV7e9a36QktOaa1/img.jpg)
P1dB는 RF(무선)쪽에서 많이 사용하는듯 하다. 모든 장비가 촤대출력 한계가 있다. 촤대출력 지점에 도달하면, 더이상 출력이 비례적(직선적)으로 늘어나지 않고, 꺽이게 된다. 만약에 직선적으로 출력이 늘어날것이라고 가정하고, 직선을 그리고, 실제 출력을 곡선으로 그렸을때, 높이차가 1dB인 점이 P1dB이다. P1dB는 그 장비가 최대출력이 얼마나 나오는지 가늠할 수 있는 지표이지만, 절대적인것은 아니다. P1dB가 동일한 장비 2대가 있을때, 장비1) 곡선이 완만하게 꺽이는 경우 장비2) 곡선이 P1dB부근에서 우측으로 확 꺽이는 경우 장비1)은 실제로는 출력이 좀 떨어져도, 더 높은 출력을 낼 수 있다. 예) P1dB보다 더 높은 출력 나온다. 그러나 장비2)는 P1dB가 거의 한계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