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청설모에 대한 오해와 진실
택배받으러 편의점가는길에 만난 반가운 친구.
스마트폰의 줌으로 찍은게 아니라 바로 앞에가서 찍어도 눈만 말똥말똥 슬쩍 손을 내밀려 하니 방향을 바꾸고 멍때리다 몇마디 말 좀 붙여보니까 그냥 가버린다.
1. 다람쥐 잡아 먹는 다는데 - 그거 새빨간 거짓말, 청솔모는 육식이 아니라 다람쥐랑 같이 잣, 호두,도토리처럼 껍질이 두꺼운 열매.
2. 외래종이라는데 - 이것도 거짓말, 영문명 Korean Sqirrel. 옛날부터 우리나라에서 살던 토착종
3.파랗지 않은데 왜? 청(靑)? -소나무숲에서 많이 산다고 해서. 푸른숲에 사는쥐 청서(靑鼠)가 청설로.
4. 다람쥐와 달리 겨울잠을 안잔다. 흰눈이 쌓인 숲에서 뛰어 다니는건 청설모.
나쁜애 아니니까 미워하지 말고 이뻐해주자.
=========================
윗글은 어느 인터넷 게시판에 있는 글입니다.
뭐 짐작 하시겠지만, 반은 맞고, 반은 틀린내용입니다.
무식한(모르는) 사람이 신념을 가지면 무섭다 하더군요.
(저도 틀린것 좀 있겠죠.)
하여간, 잘 모르면,
"아마 그럴것 같다",
"~이지 않겠나?",
"~라고 본다",
"확실하지는 않지만 ~",
등으로 가능성에대해서도 조금은 길을 만들어 줘야한다고 봅니다.
"(반드시, 절대로)맞다. 그렇다"등의 표현으로 곤란함을 격을 수 도 있습니다.
그걸 또 맞다고 우기면, 더 곤란해질 수도....
어쨌든, 다른 분들도 반박의 댓글을 달아주셨지만, 다 가져올 수 없어, 몇가지만 간추려보면,
1. 다람쥐도, 곤충도, 다 먹습니다.
굶게되면, 보이는건 다 먹습니다.
다람쥐도 곤충, 개구리 잡아먹습니다.
주식이 나무열매이고, 곤충 먹고싶으면 잡아먹습니다.
2. 토종이라는 말이 맞긴하지만, 전세계 190종이 있다고 합니다. 토종이라는 말이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군요. 러시아 같은 다른 나라에도 살고있으니....
제가 어릴적 보던 청설모는 검고, 털이 많았는데, 요즘은 갈색에 털이 별로 없네요.
나무위키에서는 "Red Squirrel"이라고하네요.
응???
난 검고 긴 다람쥐를 말한거였는데?
털색은 변한다고하네요.
인터넷 사진중에는 제가 기억하는 청설모 사진은 없네요(???)
3. 글쎄요. 맞겠죠. 그러나, 한자보다도 청설모가 더 오랬동안 살아왔던것이 분명하니, 이미 사람들이 청설모, 청솔모, ...등으로 부르던걸 한자로 표기하려니, 청설모라고했겠죠.
그러니, 딱히 정해진 의미는 크게없다고 봐야할것 같습니다.
이는 표준어가 맞냐? 사투리가 맞냐? 와 동일한 질문인것 같습니다.
표준어는 나라에서 정한것이지, 경상도 사람들이 만든건 아닙니다.
제 생각에는 청솔모가 맞으며, 검은 털이긴 한데, 가끔 푸른색이 보일때도 있는것 같습니다. 그래서 청솔모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한자로 표시한 사람이 청설모라고했으면, 그게 맞겠죠???
청설모는 귀마개로 많이 사용된걸로압니다.
지푸라기에 털가죽 엮어서 돌돌말면, 제가 어릴적 겨울에 쓰던 검은색 귀마개가 됩니다.
4. 겨울에는 잘 안보이죠.
곰처럼 많이 먹기만 하는 동물은 겨울내내 거의 잠만 잡니다. 가끔 일어나 똥도싸고, 오줌도 싸겠죠. 대부분 잠만 잘뿐.
다람쥐처럼 열매를 저장하는 동물들은 겨울에도 자다가 일어나서 열매 먹고, 물도마시고, 똥싸고, 오줌싸고 하죠. 굴밖으로 잘 안나올뿐.
청설모도 열매 저장하고, 다람쥐보다는 자주 나옵니다.
열매저장에 대해서는 저장 안한다고 알려져있으나, 앞서 곰 얘기를 했듯이, 개구리, 물고기등 살을 찌우는 동물은 겨울잠을 잠니다. 그러나 살이 많이 안찌는 동물들은 먹이를 저장합니다. 물론 먹이 저장이 어려운 늑대, 여우등은 제외입니다. 청설모도 어딘가에 잘 저장해놓고 먹을겁니다. 주로 둥지/굴 주변 땅에 묻는다고 합니다.
물고기도 종류에 따라서 가을에 많이 먹어 지방을 축적하고, 겨울에는 얼음밑에 모여서 겨울을 나는 물고기도 있습니다. 얼음밑 굴에서 단체로 반동면 상태로 겨울을 납니다.
그곳을 찾으면 몇바가지 잡을 수 있죠.
지방도 많아서 기름지고 맛있습니다.
5. 청설모는 잣, 밤등을 거의 모두 털어가기에, 유해조수로 지정되는것이 보통입니다.
예를들어 잣나무 농장(산)에 청설모 몇마리 보이면, 그해 농사 망쳤다고 봐야합니다.
6. 청설모는 사람 잘 물어요. 조심하세요.
손가락 살점이 떨어져나갑니다.
귀엽다고 만지지 마세요.(전혀 안귀여움)
나쁜애(유해조수) 맞음.
7. 청솔모는 유해조수라 잡아서 먹어도 상관없어보입니다. 잣을 많이 먹는 청솔모는 고기에서 솔향이 난다고하네요.
이상은 어릴적 산에서 청설모에게 돌던지던 아이의 의견이었습니다.
반박댓글 달아주세요.
안다고 생각하는것이
때로는 모를때가
생각보다 많습니다.(나 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