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 bin boot dev etc home include lib lost+found media mnt opt proc run |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각 폴더는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는 주어진 폴더들의 기능을 설명한 것입니다:
1. '.' (Current Directory)
- 현재 디렉토리를 의미합니다.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를 나타냅니다.
2. '..' (Parent Directory)
- 상위 디렉토리를 의미합니다. 현재 디렉토리의 부모 디렉토리를 나타냅니다.
3. 'bin'
- 사용자 명령어가 포함된 바이너리 파일이 위치한 디렉토리입니다. 시스템 부팅 및 유지 관리에 필요한 실행 파일들이 주로 위치합니다.
- 예: '/bin/ls', '/bin/cp'
4. 'boot'
- 부팅 로더 및 핵심 부팅 관련 파일이 위치한 디렉토리입니다. 커널 이미지와 초기 RAM 디스크 파일을 포함합니다.
- 예: '/boot/vmlinuz', '/boot/initrd.img'
5. 'dev'
- 장치 파일들이 위치한 디렉토리입니다. 모든 하드웨어 장치와 가상 장치를 파일로 나타내며, 장치 드라이버가 여기에 접근합니다.
- 예: '/dev/sda1', '/dev/null'
6. 'etc'
- 시스템 전역 설정 파일이 위치한 디렉토리입니다. 모든 시스템 및 응용 프로그램의 설정 파일을 포함합니다.
- 예: '/etc/passwd', '/etc/hostname'
7. 'home'
- 사용자 개인 파일 및 디렉토리가 위치한 디렉토리입니다. 각 사용자는 자신의 홈 디렉토리를 가지며, 개인 데이터를 여기에 저장합니다.
- 예: '/home/username/'
8. 'include'
- 헤더 파일이 위치한 디렉토리입니다. 주로 C/C++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헤더 파일들을 포함합니다.
- 예: '/usr/include/stdio.h'
9. 'lib'
- 공유 라이브러리 파일들이 위치한 디렉토리입니다. 시스템과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공통 라이브러리를 포함합니다.
- 예: '/lib/libc.so.6'
10. 'lost+found'
- 파일 시스템 복구 과정에서 손실된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입니다. 'fsck' 명령어로 파일 시스템 점검을 수행한 후 여기에 파일이 저장될 수 있습니다.
11. 'media'
- 이동식 미디어가 마운트되는 디렉토리입니다. USB 드라이브, CD-ROM과 같은 이동식 장치를 마운트하는 데 사용됩니다.
- 예: '/media/usb', '/media/cdrom'
12. 'mnt'
- 일시적으로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할 때 사용하는 디렉토리입니다. 시스템 관리자가 수동으로 마운트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 예: '/mnt/disk'
13. 'opt'
- 추가 소프트웨어 패키지가 위치한 디렉토리입니다. 선택적(application) 소프트웨어가 설치되는 장소입니다.
- 예: '/opt/lampp'
14. 'proc'
- 프로세스 및 시스템 정보가 포함된 가상 파일 시스템입니다.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와 시스템 상태 정보를 제공하며, 가상 파일 시스템이기 때문에 실제 디스크 공간을 차지하지 않습니다.
- 예: '/proc/cpuinfo', '/proc/meminfo'
15. 'run'
- 런타임 데이터가 위치한 디렉토리입니다. 부팅 과정에서 생성되며, 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반영하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합니다.
- 예: '/run/sshd', '/run/lock'
이들 디렉토리는 리눅스 시스템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각 디렉토리는 특정 기능을 담당하며 시스템의 원활한 동작을 보장합니다.
'초보 우분투(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추얼박스-우분투 부팅 안되는 문제 (0) | 2024.06.25 |
---|---|
1줄로 sync;sync;sync; 쓰면 3번 동작이 되는가?&&와 ;는 어떤 차이가 있나? (0) | 2024.06.21 |
윈도우에서 버추얼 박스 안의 우분투에 TCP/IP로 접속하는 방법 (0) | 2024.05.30 |
.dtb 파일의 기능 (0) | 2024.05.29 |
U-Boot 디렉토리 용도 설명 (0) | 2024.05.27 |